DNS ( Domain Name Service ) 의 메세지 타입 3가지 1. local DNS 서버에서 다른 DNS 서버로 도메인을 요청한다 ex) www.naver.com 요청받은 DNS 서버에서 www.naver.com의 도메인으로 지정된 IP주소를 리턴한다. 2. local DNS 서버에서 다른 DNS 서버로 도메인을 요청하지만 해당 DNS 서버에서 가진 정보가 없을 경우 다른 DNS 서버의 IP주소를 리턴하여 요청한 도메인의 IP주소가 나올 때 까지 반복한다. 3. local DNS 서버에서 다른 DNS 서버에 도메인의 IP를 요청 할 떄 해당 도메인의 별칭(CNAME??) 이 다른 도메인으로 설정 되어있을 경우 해당 도메인의 별칭과 해당 별칭으로 된 도메인의 IP주소를 가지고 있는 DNS 서버..
프로젝트 진행 중 특정 암호화 유틸의 jar를 받지 못하고 class 파일만 받은 경우가 있었다. 암호화 유틸 버전이 다를 경우 완전히 다른 결과물이 나오기 때문에 버전을 찾다가 class를 jar로 생성하여 사용 하였다. 일단 패키지 경로를 만든 후에 CMD창의 명령어를 실행 시키면 jar로 만들어진다. 명령어 : jar -cvf 파일명.jar * -c 새 아카이브를 생성합니다. -t 아카이브에 대한 목차를 나열합니다. -x 명명된(또는 모든) 파일을 아카이브에서 추출합니다. -u 기존 아카이브를 업데이트합니다. -v 표준 출력에 상세 정보 출력을 생성합니다. -f 아카이브 파일 이름을 지정합니다. -m 지정된 Manifest 파일의 Manifest 정보를 포함합니다. -e jar 실행 파일에 번들로 ..
파일 업로드 시 jsp에서 컨트롤러로 form을 Submit 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의 value가 존재할 경우 컨트롤러의 메소드 자체 동작에는 문제가 없지만 404, 406등의 에러와 스크립트 에러가 발생한다. 에 value가 있는상태 즉, 첨부파일이 올라와 있는 상태에서 컨트롤러로 JSON_VALUE로 보내게 될 경우 파라미터가 에 있는 multipart 타입의 데이터로 인해 발생한다. 원인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에 value가 있을 경우 value=''로 초기화 하여 서브밋을 해야한다.